컴퓨터33 vi 단축키 모음 사이트 https://string.tistory.com/51 [Linux] vi/vim 편집기 유용한 단축키 정리(복사 및 이동, 검색)안녕하세요🐱🐉 vi/vim 편집기 명령어 단축키입니다. 주로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시죠?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시면 출력하여 자주 보며 손에 익혀보는 건 어떨까요?༼ つ ◕_◕ ༽つ 이동 - 기string.tistory.com 이미지로 나와있어 아주 굳이다. 2025. 5. 20. vi 주석 색깔 바꾸기 홈 디렉토리 이동 vi .vimrc => 이 안에 내용있던 없던 상관없음 highlight Comment term=bold ctermfg=2를 입력 후 저장 색상(ctermfg) : 0~7 -> 검정, 빨강, 초록, 노랑, 파랑, 자주, 민트, 흰색 2025. 5. 20. 알고리즘 Algorithm 알고리즘 Algorithm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 또는 명확한 규칙을 의미한다.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은 입력을 받아 출력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, 이 과정은 유한개의 규칙으로 이루어져야 하고, 각 단계는 명확하고 이해 가능해야한다. 2025. 1. 28. [C++] 매개변수 parameter 매개변수(parameter) 함수를 만들 때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함수의 매개변수는 함수의 선언에서 정의한다. 함수는 반환 타입, 함수 이름, 그리고 괄호 안에 매개변수를 정의한다. 또한 함수 호출 시 실제 사용하는 매개변수의 값(value)을 실인수(actual argument) 라고 부르기도 한다. 2025. 1. 28. [C++] 변수, 연산자 변수(variable) : 함수 또는 코드 내에서 사용/전달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선언함. e.g) int num; 연산자(operator) :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+, >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피연사자(operand) : 연산의 대상이 되는 식 관계 연산자 : , >= (왼쪽, 오른쪽 피연산자의 대소 관계를 판단) 등가 연산자 : ==, != (값이 같은지의 관계를 판단) 식(expression) : 변수, 상수, 변수나 상수를 연산자로 결합한 것 대입식(assignment expression) : x = n + 135 제어식 : if문, while문 등에서 조건 판정을 하기 위해 (1 == Num)과 같이 괄호 내에 넣는 식 2025. 1. 28. [Linux] vi 주석 글자색 변경 home 디렉토리에서 vi ~/.vimrc [입력]:highlight Comment term=bold ctermfg=3 저장 끝 p.s : ctermfg=3 -> 노란색 2025. 1. 2. linux 파일 개수 및 디렉토리(폴더) 개수 세기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 즉 폴더 개수 세기 ls -l | grep ^d | wc -l 현재 위치에서 파일의 개수 세기 ls -l | grep ^- | wc -l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파일 개수 세기 find . -type f | wc -l 2024. 11. 12. LLM (대형 언어 모델, Large Language Model) 요약 LLM(대형 언어 모델, Large Language Model)은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로,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모델입니다. 여기서 LLM은 주로 자연어 처리(NLP) 분야에서 사용됩니다. 아래는 LLM의 핵심적인 특징들을 요약한 내용입니다.데이터 학습: LLM은 수백억에서 수조 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셋으로 학습됩니다. 이는 다양한 언어적 패턴, 문법, 사실적 정보 등을 포함하여 사람과 유사하게 문장을 생성하거나 질문에 답변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.언어 이해 및 생성: LLM은 단순한 명령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, 대화를 이해하고 추론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며,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사용자의 질문에 대답하거나 텍스트를 요약하는 .. 2024. 10. 18. [C++] HEAP CORRUPTION DETECTED : 동적할당 오류 bool m_bStatusList[];int main(){ m_bStatusList[0] = m_bServer1; m_bStatusList[1] = m_bServer2; m_bStatusList[2] = m_bServer3; m_bStatusList[3] = m_bServer4; delete m_bStatusList; return 0; }메모리 해제 시 오류 발생 -> HEAP CORRUPTION DETECTED 24/09/24이봐 왜그런지 좀 써놓으라고 .. 2024. 8. 14. 접속이 안되거나 연결이 안될 때 뭔가 접속이 안되거나 연결이 안될땐 먼저 telnet으로 연결 체크를 해볼 것 [사용법] window 키 + R cmd 입력 telnet [접속하려는 IP] [포트] e.g) telnet 111.222.333.4444 3306 2024. 8. 14. 이전 1 2 3 4 다음